1. 소스코드 실행 순서
Preprocess : #으로 시작되는 구문 처리
Compile :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바꾸는 과정
Link : 작성한 소스코드를 하나의 실행파일로 만드는 과정
2. 지시문(Directive)
C 프로그램에서 #으로 시작하는 문장이다.
3. 함수(Function)
C 프로그램 내에서 하나의 기능을 하는 명령 집합이다.
C 프로그램에서 main함수는 오직 하나만 존재한다.
함수 이름은 영어 대소문자와 숫자들로만 구성할 수 있고, '_'를 제외한 특수문자는 사용 불가능하다.(맨 앞에 숫자 사용 불가능)
3.1 printf 함수
C언어의 표준출력함수
ex)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printf(“Hello world!”);
}
3.2 scanf 함수
C언어의 표준입력함수
ex)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int a;
scanf(“%d”, &a);
}
3.3 getchar
하나의 문자를 읽어 들이는 함수
ex)
ch = getchar()
3.4 putchar
하나의 문자형 변수를 출력하는 함수
ex)
putchar(ch);
4. 명령문(Statement)
실질적으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문장이다.
명령문 마지막에는 세미콜론(;)을 붙여서 문장이 끝났음을 나타낸다.
5. 변수(Variable)
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이다.
변수 이름은 영어 대소문자와 숫자들로만 구성할 수 있고, '_'를 제외한 특수문자는 사용 불가능하다.(맨 앞에 숫자 사용 불가능)
변수는 초기화를 해주지 않으면 예기치 못 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.
6. 변수 표시자(Conversion Specification)
출력 데이터의 자리를 지정해준다.
ex)
int a=11;
printf(“%10d”, a); //%뒤에 오는 숫자는 출력 데이터가 차지하는 칸수
>> ●●●●●●●●11
float b=4.358;
printf(“%8.2f”, b); //%뒤에 오는 8.2에서 8은 출력데이터가 차지하는 칸수, 2는 출력하고자 하는 소수점 자리
>> ●●●●4.35
*●는 빈칸입니다.
7. Escape Sequence
C에서 이미 다른 기능이 있는 문자를 출력하기 위해서 \(역슬래시)으로 시작하는 2개짜리 문자열이다.
ex)
\n, \t, \’, \”, \\
8. 자료형
데이터의 종류를 말한다.
8.1 정수형
① signed integer(부호가 있다.)
범위 : -231~231-1
② unsigned integer(부호가 없다.)
범위 : 0~232-1
8.2 실수형
① float
32비트의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고, 소수점 6번째 자리까지 표현 가능하다.
② double
64비트의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고, 소수점 15번째 자리까지 표현 가능하다.
실수형 상수를 그대로 사용하면 double형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float형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뒤에 f 또는 F를 붙여야 한다.
ex)
float a = 4.5f;
double = 6.78;
8.3 문자형
① char
8비트의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고, 단 하나의 문자를 저장한다.
문자형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반드시 작은따옴표(')로 묶어야 한다.
9. 형변환
수식의 계산에 자료형 변환이 필요한 경우 변수 앞에 (바꿀 자료형)을 입력해주면 된다.
ex)
int a=10, b=4;
divide = (float)a / b; //divide는 실수형 변수
형변환 우선순위 : double ← float ← int ← char
10. sizeof 연산자
변수의 메모리 크기를 byte단위로 나타내는 연산자
ex)
sizeof(int) = 4, sizeof(char) = 1
SWEA 1938
두 개의 자연수를 입력받아 사칙연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.
[제약 사항]
1. 두 개의 자연수 a, b는 1부터 9까지의 자연수이다. (1 ≤ a, b ≤ 9)
2. 사칙연산 + , - , * , / 순서로 연산한 결과를 출력한다.
3. 나누기 연산의 결과에서 소수점 이하의 숫자는 버린다.
[입력]
입력으로 두 개의 자연수 a, b가 빈 칸을 두고 주어진다.
[출력]
사칙연산의 결과를 각 줄에 순서대로 출력한다.
2강 실습 문제
화씨 온도를 입력받아 섭씨 온도가 출력되게 한다.
(화씨 온도 = 섭씨 온도 * 9/5 + 32)
[조건]
입력 받는 화씨 온도와 출력 되는 섭씨 온도는 모두 실수형 변수이다.
섭씨 온도는 소수점 첫째 자리 까지 나오게 한다.
[실행 예]
화씨 온도를 입력하세요: 39.2 (키보드로 입력 받은 수)
섭씨 온도는 4.0도 입니다.
3강 실습 문제
분자, 분모가 모두 양의 정수로 이루어진 두 개의 분수를 입력받아, 그것을 더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.
[조건]
입력 포맷 : %d/%d+%d/%d
출력 포맷 : %d/%d
[실행 예]
분수의 합을 입력하시오 : 5/6+3/4
분수의 합 = 38/24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WEA] 10726/8931 (0) | 2020.10.02 |
---|---|
[SWEA] 9940/10032 (0) | 2020.09.24 |
[SWEA] 10570/10200 (0) | 2020.09.18 |
C정리 3주차 (0) | 2020.07.11 |
C정리 2주차 (0) | 2020.07.11 |